stsess.exe ahnlab safe transaction application 이거 바이러스인가요? 삭제해도 되는 파일인지 알려드립니다

stsess.exe ahnlab safe transaction application 이거 바이러스인가요? 삭제해도 되는 파일인지 알려드립니다

컴퓨터를 부팅할 때 작업 관리자에서 낯선 파일 이름을 마주친 적 있으신가요? 예를 들어 stsess.exe 같은 이름 말이죠.

생소한 파일이다 보니 “이거 바이러스 아냐?”, “컴퓨터 느려진 이유가 이거 때문일까?” 같은 의심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. 저처럼 가끔 시스템 성능에 예민한 분들이라면 더더욱 신경 쓰이실 거예요.

이번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stsess.exe의 정체, 그리고 삭제해도 되는지, 삭제 방법은 어떤지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
 

 

stsess.exe 정체 – 이 파일, 무조건 지우면 안 되는 이유

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stsess.exe는 안랩(AhnLab)의 보안 프로그램인 ‘AhnLab Safe Transaction’의 핵심 실행 파일입니다.

이 프로그램은 우리가 인터넷 뱅킹, 카드 결제, 공공기관 전자민원 등을 이용할 때 보안 강화를 위해 자동 설치되는 보안 솔루션입니다.

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키보드 입력 암호화: 악성코드가 키보드 입력을 몰래 감지하는 걸 차단
  • 네트워크 보안: 금융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트래픽 보호
  • 실시간 위협 차단: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위험 요소 자동 차단

즉, stsess.exe악성코드가 아니라 보안 프로그램의 일부이며, 일부 은행 사이트(예: 국민은행, 우리은행, 농협 등)나 공공기관 사이트를 이용할 때 필수로 실행됩니다.

 

그런데 왜 삭제하고 싶어질까?

문제는 이 파일이 시스템 자원을 은근히 많이 잡아먹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. 특히 저사양 PC나 오래된 노트북에서는 CPU 점유율이 높아지거나 부팅 속도가 느려지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

게다가 어떤 분들은 더 이상 온라인 뱅킹을 사용하지 않거나,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만 금융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면 굳이 무거운 보안 프로그램이 필요 없다고 느낄 수 있어요. 이럴 경우 삭제를 고려하는 것도 충분히 이해됩니다.

 

삭제 전에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

단순히 작업 관리자에서 stsess.exe를 종료하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습니다. 프로세스는 다시 자동으로 살아나기 때문이에요.

그리고 AhnLab Safe Transaction 전체 프로그램을 삭제하지 않으면 완전히 제거되지 않습니다.

또한 이 프로그램이 삭제되면, 다음에 금융 사이트 접속 시 다시 설치를 요구할 수 있으니 사용 패턴에 맞춰 판단하셔야 합니다.

 

stsess.exe 삭제 방법 – 차근차근 따라하기

💡 삭제는 신중하게, 레지스트리 수정은 백업 필수!

  1.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제거
    • Windows 시작 > 설정 > 앱 >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에서 AhnLab Safe Transaction을 찾아 제거 클릭
  2.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종료
    • stsess.exe가 실행 중이라면 강제 종료 (종료되지 않아도 삭제 후 재부팅하면 사라짐)
  3. 남은 파일 정리
    • 경로: C:\Program Files\AhnLab\Safe Transaction
    • 폴더가 남아 있다면 수동으로 삭제
  4. 레지스트리 정리 (선택사항)
    • Win+R → regeditHKEY_LOCAL_MACHINEHKEY_CURRENT_USERAhnLab 관련 항목 삭제
    • 단, 잘못 건드리면 부팅 오류 생길 수 있으므로 레지스트리 백업 필수
  5. 마지막으로 재부팅 후 확인

삭제 이후에도 금융 사이트에 접속하면 자동 설치 안내가 다시 나올 수 있으므로, 향후 사용 예정이라면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
 

삭제 이후, 컴퓨터가 더 빨라질까?

안랩 Safe Transaction 자체는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면서 CPU 자원을 점유합니다. 저사양 시스템에서는 삭제 후 브라우징 속도나 부팅 속도가 체감적으로 개선될 수 있습니다.

다만, 최근 보안 위협이 많아진 만큼, 대체 보안 솔루션 설치 여부도 함께 고려하는 게 좋습니다.

예를 들어, 윈도우 디펜더 또는 카스퍼스키, 비트디펜더, 이셋(ESET) 등 가벼우면서 신뢰성 있는 백신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.

 

 

마무리하며

stsess.exe는 이름만 보면 의심스럽지만, 사실은 AhnLab의 정상 보안 프로그램입니다. 다만 사용 환경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니, 위 내용을 참고해 자신에게 맞는 방향으로 처리하시면 됩니다.

프로그램 삭제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, 보안에 민감한 작업을 자주 하신다면 그대로 두는 게 안전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두세요.

혹시 주변에 이와 비슷한 파일 때문에 걱정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이 글을 공유해 주세요. 컴퓨터 초보자에게도 이해하기 쉬운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.